태산뉴스 김준수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2025년 조직개편 이후 통합운영학교 제도 개선과 협력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박차를 가한다. 학생의 연속적인 성장을 돕는 미래학교의 새로운 모델로서 통합운영학교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10일 경기도통합운영학교정책실행연구회 출범을 시작으로 제2부교육감 주관 통합운영학교 정책지원협의체를 구성해 이달 24일 첫발을 내딛는다.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통폐합 학교가 증가하면서 도심 지역에서도 통합운영학교를 신설하는 추세다. 2025년 4월 현재 경기도에는 28개의 통합운영학교(▲초·중·고 4교 ▲초·중 18교 ▲중·고 6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6년 이후로도 7개 학교를 통합운영학교로 설립할 예정이다.
통합운영학교임에도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는 업무에 따라 각각 다른 부서와 대응해야 하는 어려움이 뒤따른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에 도교육청은 조직개편 이후 학교교육정책과(과장 이지명)를 담당부서로 신설, 통합운영학교의 소통과 지원 전반을 주관하며 학교를 돕기 위해 힘쓰고 있다.
2025년 3월 신설한 도심형 통합운영학교인 내손중·고(의왕), 옥길새길중·고(부천) 방문을 시작으로 죽산중·고(안성)·군서미래국제학교(시흥)를 차례로 방문했으며, 지난 4월 2일에는 통합운영학교 교장단과 남부청사에서 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주요 업무는 ▲통합운영학교 정책지원협의체 운영 ▲통합운영학교 도움자료 개발 ▲경기도통합운영학교정책실행연구회 운영 ▲정책 포럼 개최 ▲통합운영학교 교원 네트워크 운영 등으로 설정했다.
통합운영학교 정책지원협의체는 제2부교육감을 중심으로 학교설립을 비롯해 각종 예산, 인사, 교육과정, 연수, 홍보 등에 관련 부서와 협력해 운영 개선과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현장 요구 사항을 반영해 도움자료를 개발·배포하고 부서별 실무협의체를 중심으로 업무 간소화와 효율화 방안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통합운영학교 정책실행연구회 운영으로 학교 업무 개선과 발전 방안 연구 등을 지원하고, 정책 포럼 및 연수 운영, 교원 네트워크를 활용한 학교별 운영 사례 공유 등 통합운영학교 간 소통 확산을 위해서도 적극 힘쓸 방침이다.